본문 바로가기
방구석 경제

세계 경제 전망

by 방구석아저씨 2022. 1. 20.
728x90

1. 세계 경제 전망
최근 국내외 여건 변화 등을 감안할 때 , 경제성장률은 21년과 22년 중 각각 4.0%,3.0% 수준을 나타낼 전망이다.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3/4분기 중 회복 흐름이 다소 주춤하였으나, 4/4분기 들어 글로벌 공급 차질이 점차 완화
되면서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향후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국에서도 백신 접종 확대에 힘입어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재확산, 글로벌 공급차질, 중국 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ㅁ 세계교역은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갈 전망
상품교역은 글로벌 물류지연, 기저효과 축소 등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
*세계 선박 물류 평균 지연일수(일)
19년 12월 4.3 -> 20년 12월 5.8 ->21년 4월 5.8 -> 8월 7.7 -> 9월 7.3
** 세계 상품교역량(CPB 수입량, 전년 동월 대비, %)
20년 3/4분기 -5.1 ->4/4분기 0.6 -> 21년 1/4분기 6.6 -> 2/4분기 21.2 ->8월 10.0

서비스 교역은 부진에서 점차 벗어나는 모습"
*주요 14개국 서비스 수입액(WTO 집계, 전년 동월 대비, %)
20년 3/4분기 -24.1 -> 4/4분기 -18.6 -> 21년 1/4분기 -9.4 ->2/4분기 22.7 -> 8월 25.5

# 향후 상품교역은 물류 지연과 생산차질이 점차 완화되면서 양호한 흐름으로 이어겠으며, 서비스 교역도 입국 제한
완화 등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2. 주요 국가 경제 전망
1) 미 국
ㅁ 견조한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
델타 변이 확산, 글로벌 공급 차질 등으로 3/4분기 중 회복세가 주춤하였으나, 4/4분기 들어 고용 및 소비 개선세에
힘입어 회복 흐름이 재개되는 모습이다.

10월 중 여가, 호텔, 식당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확대되고 소매판매는 4월 이후 최대폭으로 증가 예상된다.
*취업자 수 증감(비농업, 만 명) : 21년 8월 48.3 -> 9월 31.2 -> 10월 53.1

산업생산도 자동차 중심으로 증가로 전환

# 향후 양호한 고용회복세, 생산차질 및 물류 지연 완호 등으로 경기회복세가 이어질 전망
* 미국 성장률 전망(%) 2020년 2021년 2022년
IMF(21년 10월) -3.4 6.0 5.2
OECD(21년 9월) -3.4 6.0 3.9

2) 유로지역
ㅁ 양호한 회복 흐름을 지속할 전망
방영 조치 완화에 힘입어 3/4분기 중 빠른 회복 흐름이 이어졌으나 4/4분기 들어 일부 국가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
되면서 회복 속도가 다소 둔화되는 모습이다.

10월 서이브 업 PMI가 기준치(50)를 상회한 가운데 프랑스, 스페인 등은 개선세를 지속한 반면, 독일은 회복세가 둔화

# 향후 경제활동 재개가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회복 기금 집행 등이 양호한 회복 흐름을 뒷받침할 전망이다.

3) 일 본
ㅁ 완만한 회복 흐름을 나타낼 전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위축과 자동차 생산차질의 영향으로 3/4분기 중 부진하였으나 4/4분기 들어 개선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자동차 생산차질이 완화되고 10월 수출도 증가로 전환 * 자동차 생산차질 대수 : 21년 3/4분기 56.6만 대 -> 4/4분기 37.4만 대

# 앞으로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되는 가운데 신정부의 재정지원책이 소비회복을 뒷받침할 전망이다.

4) 중 국
ㅁ 성장세가 둔화되는 흐름이 이어질 전망
최근 헝다 사태, 전력난, 고강도 방역정책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되는 모습이다.

수출은 양호한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나, 산업생산, 소매판매 등 여타 실물지표는 부진하다.

# 향후 부동산 디레버리징 기조 지속, 공동부유 정책에 따른 기업규제 강화 등이 성장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양호한 정책여력, 대외여건 등을 바탕으로 잠재 수준의 성장세는 이어갈 전망으로 보인다.

4) 신흥국
ㅁ 백신 접종 확대 등으로 회복 흐름이 재개될 전망
아세안 5국은 감염병 확산세 둔화에 따른 생산차질 완화, 외국인 관광객 유입 재개 등으로 경기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관광업 의존도가 높은 태국, 말레이시아 등은 11월부터 유명 관광지에 대한 무 격리 입국을 시행
10월 제조업 PMI가 기준치를 상회하는 등 경기가 개선되는 조짐

# 인도는 백신 접종률 상승, 인프라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

3. 개인 의견 및 전망
코로나19로 백신 접종 확대로 인하여 각 국가의 경제 회복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산업생산 양호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제조업 및 서비스업도 크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22년에는 세계 국가들이 코로나19 전에 모습으로 빠른 경기 회복과 편안한 일상생활로 빨리 돌아왔으면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