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통해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서 월급을 받으며 생활을
하기도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다수가 투자라는 것을 선택을 하면서 자산을
늘려가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모든 직장인들의 고민은 바로 매달 고정적으로 받는 월급으로 어떻게 목돈
굴리기를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목돈 굴리기를 시작하기 전에 재테크 고수들이 말하는 재테크 3원칙을
확인해 보면 앞으로 재테크를 준비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 겁니다.
목돈 굴리기를 위한 실패 없는 재테크 3원칙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재테크란 무엇인가?
목돈을 효율적으로 굴려서 추가적인 수익(이자)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연봉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고 노후는 불안정하고, 부동산 가격은 들썩거리고
있는 와중에 많은 분들이 부동산 투자, 아트 재테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투자는 아무런 관련 지식 없이 시작한다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비교적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재테크를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경험을
해왔고 가이드라인은 어느 정도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가기만 해도 최소한
실패는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재테크를 하실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3원칙 방법을 설명드리려 합니다.
실패 없는 재테크 3원칙 방법
- 수익성
재테크의 근본적인 이유는 수익성에 있습니다.
똑같은 돈을 가지고 동일한 기간 동안 넣어두어도 실질적으로 본인이 받게 되는
이자가 달라지는 이유는 바로 이런 수익률 때문입니다.
아무리 안전하고 투자금을 언제든지 뺄 수 있다고 해도 수익성이 없다면 결국
무용지물입니다.
단기 투자보다는 장기 투자가 좋긴 하지만 기다림의 미학이 정답은 아닙니다.
돼지저금통에 동전을 모으게 되면 원금은 차곡차곡 쌓이게 되지만 자산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처럼 무언가를 가입하려면 어느 정도를 받을 수 있는지도
체크를 해야 합니다.
- 안정성
기대 수익률이 높을수록 위험성도 높다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수익성만 쫓아가다는 안정성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금리가 낮은 적금이나 예금 같은 은행 상품을 선택하는 이유도
원금의 안정성 때문입니다.
내가 그동안 힘들게 모은 돈을 지켜낼 수가 있는 최소한의 방어선은 구축을
해두어야 하며 이것이 무너지게 된다면 아주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
기대 수익률은 높지만 원금 손실에 대한 위험성이 높을 경우, 재테크
수단으로써의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그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분산 투자입니다.
투자 상품의 대한 공부를 해서 리스크를 줄이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는 위험 분산 투자를 하고 저축 통장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금성
재테크를 할 때 급한 상황에서 투자한 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금이 언제 사용될 자금인지 자금의 유동성을 명확하게
파악해 두어야 합니다.
만약 2년 후에 결혼을 계획하시면서 목돈 모으기를 하시는데 3년 만기 상품에
가입하는 것은 환금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재테크에 투자한 자금과 수익금을 얼마나 빨리 그리고 얼마나 쉽게 현금화
시킬 수 있는지 파악해 두셔야 합니다.
적금과 주식의 경우에는 빠르고 쉽게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부동산의 경우는 빠르고 쉬운 현금화가 어렵습니다.
나에게 맞는 재테크 방법 찾기
개개인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만의 최적화된 재테크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는 잘 맞는 재테크 방법이 나에게는 잘
안 맞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냥 금리가 높은 예적금을 고르면서
자신만의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좋고 정말 소액을 분산을 시켜서
하시고 싶은 재테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정수입을 늘리는 것도 돈을 모으는 방법이지만 지출을 최대한 줄여서
돈을 모으는 방법이 좀 더 쉬운 방법일 것입니다.
실패 없는 재테크 3원칙을 숙지하시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재테크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방구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0) | 2022.04.20 |
---|---|
한국 문화콘텐츠의 경제 효과와 전망 (0) | 2022.04.18 |
엔화 약세 원인과 수출 기업들의 영향 (0) | 2022.04.14 |
쌍용차 인수 정말 가능 할까? 투자 주의 (0) | 2022.04.12 |
어린이 경제교육 필요성과 교육 방법 (0) | 2022.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