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구석 경제

공매도 & 공모주

by 방구석아저씨 2022. 2. 23.
728x90

1. 공매도

 공매도는 영어로는 'Short selling"이라고 합니다.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입니다.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 값에 사 결제일 안에 

 주식대여자(보유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챙깁니다.

 공매도는 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반면 시장 질서를 교환시키고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A종목 주가가 10만 원이고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이때

 A종목 주식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10만 원에 공매도 주문을 냅니다.

 그리고 실제 주가가 9만원으로 하락했을 때 A종목을 다시 매수해서

 1만 원의 시세차익을 챙기는 것입니다.

 이처럼 공매도는 하락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한 투자기법입니다.

 빌릴 때는 대차수수료(연간 3~3%)가 비용으로 발생됩니다.

 

* 2021년 5월 3일 ~ 2021년 12월 31일 공매도 총액 *

공매도 주체 코스피 공매도 코스닥 공매도 합산
외 인 54조 8920억원 16조 5348억원 71조 4268억원
기 관 14조 8243억원 7조 5576억원 22조 3819억원
개 인 1조 3070억원 6141억원 1조 9211억원
합 산 71조 233억원 24조 7965억원 95조 7298억원

 공매도가 시장 대비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공매도에 주가 상승이 가능할까요? 

 

 1) 공매도의 문제점

 이런 공매도 방법에 대해서 개인 투자자들은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현재는 개미 투자자들이 공매도하기가

 힘든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 공매도 참가 대상이 되려면

 외국인 투자 등록증을 발급받은 외국 법인만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개인에 비해서 막대한 자본을 가진 기관 또는 외국인만 공매도가 

 가능하다는 현실은 개미들에게는 아주 불리한 조건입니다.

 자본력을 이용해서 원하는 대로 주가를 하락시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 한국 코스피 지수가 장기적으로 박스권에서 헤매고 있습니다.

 그 원인 중에 하나는 주가가 올라가면 공매도로 돈을 벌고 주가가 내리면

 다시 매수하는 기관, 외국인입니다.

 

 적절한 비율로 분산투자를 한다면 크게 손실을 보는 상황은 피할 수 있습니다.

 

2. 공모주

 공모주는 공모 대상의 주식을 뜻하며, 기업공개를 하는 과정에서 일반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매각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기존 비상장 상태일 때는 소수 주주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상장을 위해

 기업공개를 하면 주식을 여러 사람에게 분배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주식을 매각하는 것입니다. 그에 해당하는 주식이 바로 공모주입니다.

 

 보통 공모주는 투자자에게 매우 인기가 높습니다. 공모주가 상장되면 보통

 주가가 공모주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모주 투자를 잘하면 단기간에 매우 높은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일부 유명 공모주 청약에는

 수조 원의 자금이 몰리면서 경쟁률이 수백 대 1까지 치솟기까지 합니다.

 

 공모주는 항상 청약으로 매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주식을 많은 사람들에게

 퍼트리기 위해 첫 단계로 공모주 청약을 받는 것입니다.

 회사의 가치를 판단해 공모가가 결정되면, 일반투자자들에게 모집공고를 냅니다.

 공모주 청약은 기업이 공개를 통해 증권시장에 상장되는 경우 일반인으로부터

 청약을 받아 주식을 배정하는 것을 뜻합니다.

 

3. 공모주 청약 전 필수 확인 

 공모주 청약으로 무조건 이득을 보는 것은 옛말이나 다름없습니다.

 최근처럼 증시가 약세를 보일 때는 상장 후 주가가 공모가보다 낮아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장 시작과 동시에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제 막 공모를 마친 주식들은 막연한 기대심리로 인해 주가가 부풀려져 있다가

 순식 잔에 주가가 단기 급락하는 경우가 상당히 빈번하게 발생되어 주의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공모주 청약을 할 때에는 반드시 기업 실적 추이를 꼼꼼히 확인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매출과 영업이익, 그리고 순이익은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해 왔는지 살펴보고,

 사업의 성장성은 어느 정도인지도 분석하여 판단해야 되고, 해당 업종에서

 어느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지 또한 같이 살펴봐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기업이 매출처가 특정한 기업에 편중돼 있지는 않는지 등을

 유심히 살펴봐야 합니다.

 

 

 

728x90

'방구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시장,글로벌 경제 전망  (0) 2022.02.25
세계 국민소득 순위, 한국은?  (0) 2022.02.24
2022년 청년정책 정리  (0) 2022.02.22
2022년 근로기준법  (0) 2022.02.21
주식투자 용어 정리  (0) 2022.02.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