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방구석 경제78 금리와 주식의 관계 최근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인상이 진행되면서, 주식 시장이 얼어붙어 가고 있는 듯합니다. 여기에 대출 규제까지 더해져서 시장에서 유동성이 잠시 주춤하는 시기가 도래했습니다. 투자자라면 어떤 원리로 금리가 인상되어야 하고 인하되어야 하는지 그 속 사정을 이해하고 관심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금리인상과 금리인하 상황에 맞춰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이든 한 방향으로만 주야장천 흐를 것을 기대하는 것은 상당한 리스크가 따릅니다. 그래서 늘 반대를 고려하고 미리 준비해둬야 뒤탈이 적어질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해는 2011년도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2011년도의 금리와 주식의 상황을 보며 과거에서 미래의 답을 조금은 예측해볼 필요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 .. 2022. 2. 26. 금융시장,글로벌 경제 전망 2022년에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이 있었지만 오미크론 영향으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와 같이 바이러스 등 이러한 변화는 세계 경제 및 금융 시장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큰 변화가 예상되는 현시점에 2022년에는 어떤 글로벌 경제 이슈가 예상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다가오면서 시장에서는 주가지수가 하락하고, 시장 금리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소비자의 실질구매력을 감소시키거나 임금을 상승시킬 수 있는데 현재 미국의 경우 임금 상승이 뒤따라 나타나고 있어 물가 상승, 임금 상승의 악순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2. 한국은행 통화정책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은 .. 2022. 2. 25. 세계 국민소득 순위, 한국은? 1. 국민소득이란? 국민소득은 일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 활동의 결과로 얻은 최종 생산물의 총액을 말합니다.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경제 활동 정도나 생활 수준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나아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입니다. 국민소득을 나타내는 기준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 총생산(GDP)과 국민 총소득(GNI)이 있습니다. 국민 총소득(GNI)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국민들이 벌어들인 소득을 전부 합한 것입니다. 국내 총생산은 말 그대로 국내에서 생산된 것의 가치를 합친 것이어서 국내에서 활동한 외국인의 생산 활동까지 포함시키지만 국민 총소득은 그 나라의 국민들만의 소득을 계산한 것이어서 국내에서 얻은 외국인의 소득은 빠지고, 외국에 나가 활동하는 우.. 2022. 2. 24. 공매도 & 공모주 1. 공매도 공매도는 영어로는 'Short selling"이라고 합니다.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입니다.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 값에 사 결제일 안에 주식대여자(보유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챙깁니다. 공매도는 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반면 시장 질서를 교환시키고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A종목 주가가 10만 원이고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이때 A종목 주식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10만 원에 공매도 주문을 냅니다. 그리고 실제 주가가 9만원으로 하락했을 때 A종목을 다시 매수해서 1만 원의 시.. 2022. 2. 23.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0 다음 728x90